아크릴 컬러
수용성이어서 기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매우 빨리 마르므로 여러 번 겹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속건성이라 제작기간이 단축되므로 머리 속에 있는 아이디어와 감정이 그대로 살아있을 때 작품 제작을 마무리할 수 있다. 아크릴 컬러는 엷게 칠하면 5-20분, 두텁게 칠하면 2-4시간이면 내부까지 마르며 표면과 내부가 거의 같이 마른다. 유화물감이 대단히 늦게 마르는 데 비해 아크릴 컬러는 수채화 물감보다도 빨리 마르기 때문에 단시간에 제작할 수 있으나 일단 마르고 나면 완전 고착되어 수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숙련된 솜씨가 필요하다. 그라데이션이나 수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건조완화제 리타더(retader)를 사용하여 물감의 건조속도를 느리게 조절할 수도 있다.
아크릴 컬러를 희석시킬 때는 물이나 아크릴 미디엄을 사용하는데 건조할 때 강한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아세톤 등의 강력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한 녹지 않는다. 아크릴 수지 피막이 안료를 보호하여 외기의 변화나 강한 자외선에도 변색, 퇴색될 염려가 거의 없다. 야외에서의 내후성도 좋아서 야외 벽화용으로 적합하다.
아크릴 수지피막은 유연성이 풍부하여 갈라질 염려가 없으므로 유화물감처럼 두텁게 칠할 수도 있다. 다만 두텁게 칠할 경우에는 건조 후에 물감의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터치의 가장자리가 조금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유화와 질감은 다르지만 역시 투명성의 화면이 되며 내구성이 강하여 변색이나 퇴색이 아주 적다. 물감의 전색성이 좋고 넓은 면적을 얼룩없이 고르게 칠할 수 있다.
아크릴 컬러는 접착력이 대단히 강하여 캔버스 외에도 종이, 천, 나무판, 가죽, 아스테지, 필름, 석고, 벽면 등 어느 정도 흡수성이 있는 바닥재라면 어디에든 잘 부착되며 반드시 바탕칠을 할 필요도 없다. 또한 톱밥을 섞어 질감을 변화시키기도 하고 콜라주할 때 접착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이 너무 매끈한 경우에는 샌드 페퍼로 약간 갈아서 그 위에 제소로 바탕칠하고 그리면 좋다. 천에 그릴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화학섬유, 목면지. 마지 등 모두 좋다. 콘크리트나 시멘트 위에도 제소로 바탕칠하고 그리면 된다. 바탕칠용 제소는 물감의 발색을 좋게 하고 붓질을 편하게 해준다.
아크릴 수지는 그 자체가 무색 투명한 것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황변하는 일이 없다. 사용된 안료에 투명색이 많은 경향도 있지만 아크릴 컬러는 투명성이 높고 엷게 칠하면 수채화 물감과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한 액체상태로 만들어 브러시에도 사용하는 등 다른 물감에서는 어려운 용법도 가능하다. 색에 따라서 투명한 것과 조금 덜 투명한것이 있다. 아크릴 컬러 튜브에 투명(transparent)과, 불투명(opaque)이 기입되어 있는 수도 있다.
약간 불투명한 색도 폴리머 미디엄(polymer medium)을 쓰면 투명해진다. 색견본을 보면 각색을 진하게 칠한 것과 연하게 칠한 것 두 색을 나란히 표시하는데 진하게 칠한 것은 원색 그대로 칠한 것이고 연하게 칠한 것은 폴리머 미디엄을 혼합하여 칠한 것이다. 투명색에다 화이트를 혼합하여 쓰면 불투명색이 된다
아크릭 칼라의 근본적인 특징은 빠른 건조와 건조후 지워지지 않으며 광택이 있으며 희석제가 물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사용법이 간편한 이 칼라는 모든 미술까 즉 순수미술화가, 초보자, 학생, 장식 제작자등이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릭 칼라는 덧칠하기 가능하고 변질이 없으며 마른후 균열이 없는 것이 좋다.
아크릭 칼라를 사용한 기법들
수채화법 : 50%의 물로 희석하거나 투명 메디움을 20-25%를 섞어서 그림을 그린다. 먼저 수채화 종이에 물을 적신 후 사용할 수 있고 종이 이외의 또 다른 재료 (보드지)등에는 밑칠용의 잿소를 칠한 후에 사용 할 수 있다 유화 기법 : 아크릭 칼라는 유화처럼 무거움과 견고도를 가지고 있다. 나이프나 붓을 사용할 수 있고 유화처럼 두껍게 덧칠 할 수 있는 재료이다. 원래의 물감만을 사용하든지 20-25%의 투명 메디움을 섞어 쓰든지 한다.
글라시법 (Les glacis): 글라시(Les glacis)법이란 마른 바탕위에 칠하는 밝고 연한 색채를 말하는 것으로 투명 메디움 20-25%를 섞는다. 아크릴 칼라는 밟고 생생한 표현 기법을 할 수 있다.젤 메디움 20-25%를 섞어서 칠하면 반죽의 첫 번째 터치를 더욱 생생하게 얻어 낼 수 있다 무광택의 글라시법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불투명 메륨을 20%를 섞으면 색조가 훼손되지 않고 변질됨이 없다. 불투명 수채화법 : 아크릭 칼라에 불투명 메디움을 섞으면 광택이 없고 불투명한 과슈의 마지막 모양이 된다.
두꺼운 장식을 만드는 법:
1) 섬세한 모양- 투명 메디움 50%와 물 5-%를 혼합한다. 이 혼합물과 기타 재료들(모래, 톱밥,대리석의 잔알, 규석등)을 아주 밀도가 높은 반죽이 될 때까지 섞는다. 그 다음에 아크릭 칼라와 혼합한다. 이후에는 나이프로 작업 할 수 있다.
2) 두꺼비 모양- 조가비 껍질, 단추, 짠 옷감, 실, 시계조각들 등에 투명 메디움이 스며 들도록 붓이나 솔로 칠하거나 담그어 둔다. 그다음 그림의 맨 바닥의 초벌칠위에 이것들을 풀로 붙이고 취향에 따라 (이 물질들에 색칠하기 전에) 마르도록 그냥 둔다.
3)무겁고 볼륨있는 모양- 다른 재료들을 젤 메디움을 이용하여 그림위에 초벌칠을 한 그림위나 순수한 캔버스 위에 직접 붙인다. 그리고 건조후 아크릭 칼라로 장식한다.
엠버싱된 종이를 이용하는 법 : 엠버싱 처리된 종이에 투명 메디움을 절반 혹은 1/3가량 혼합한다. 그 얻어진 물질을 조각하여 아크릭 칼라로 그림을 그린다.
컬러 밴드를 이용하는 법 : 자동으로 들러 붙는 컬러 밴드를 바탕위에 붙인다. 그 위에 아크릭 칼라로 간격을 두고 색칠을 한다. 그리고 마르기 전에 바탕위에서 컬러 밴드를 떼어낸다 ( 약 15-20분후)
분무법 : 아크릭 칼라에 50%의 물을 점진적으로 섞어 나간다. 잘 저으면 에어 브러쉬의 좁은 구멍을 통과 할 수 있어 작업하기 편리하며 사용후 에어 브러쉬(분무기)는 미지근한 물이나 알콜을 사용하여 닦아 둔다.
벽화법 : 아크릭 칼라는 벽화로도 많이 사용되는 칼라이다.
가죽과 프라스틱화된 캔버스위에 칠하는 기법 : 아크릭 칼라는 가죽이나 프라스틱 위에서도 지워지지 않는 특징이 있으므로 그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세라그라픽법 : 90%의 아크릭 칼라와 10%투명 메디움을 섞는다. 그다음 일반회된 세라그라픽법을 적용시키면 된다.
미디엄(보조제)
아크릴화는 미디엄(보조제)를 적절히 사용해야만 완벽한 작품을 만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디엄들은 극히 한정되어 있으며, 그 몇 안되는 미디엄들도 적절히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1.BINDER MEDIUM
성분 : 아크릴릭 폴리머 이멀션
바인더 미디움은 밑칠 뿐만 아니라 실제 작업에도 사용된다.
1)CALLAGE기법에 사용한다. : 풀끼가 있기 때문에 종이나 톱밥 등을 화면에 붙일 수 있다.
2)RETOUCH VARNISH의 역할을 한다. : 화면의 색감이 가라 앉은 느낌이 날때, 물과 미디엄을 1 : 1로 섞어 전체적으로 칠해주면 색감을 되살아나게 해 준다.
3)유화의 테레핀과 다르게 수채화 효과를 나타내는 미디엄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수채화 느낌이 나는 엷은 그림을 그릴때 미디엄과 물을 20 : 80으로 섞어 사용하면 물만 섞었을 때와는 또다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유화 작업에서 수채화 느낌을 내고 싶을 때 테레핀을 사용하게 되는데 테레핀만을 섞으면 엷어지긴하지만 색감이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화 작업자들은 ALKYD MEDIUM을 함께 섞어 쓰는데 그 ALKYD MEDIUM과 비슷한 효과를 아크릴화에서는 바인더 미디움이 낼 수 있다.
2.PAINTING MEDIUM
성 분 : 아크릴릭 폴리 유러 세인
물감을 펴고 섞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 면, 만일 어제 작업을 했는데 마음에 들지않아 오늘 어떤 부분을 수정한다고 가정하자. 어제 작업했다면 이미 물감은 마른 상태이기 때문에 새 물감과 섞이지 않을 뿐더러 포스터 같이 딱딱하게 될 것이다. 그럴때 페인팅 미디엄을 섞어 사용하면 먼저 칠한 색깔과 나중에 칠한 색깔을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의 역할은 순수 아크릴수지로써 흘러내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CADMIUM COLOR나 OXIDE, TITANIUM등과 같은 변하지 않는 물감들이 실외 벽화에 칠해질 때 아크릴 칼라에 20-50%의 페인팅 미디엄을 섞어 주면 날씨에 의한 부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점착력이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유리 플라스틱, 스텐레스 같은 비흡수성 표면 위에 칼라를 칠하거나 스프레이 작업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크릴 칼라로 스프레이 작업을 하고자 할때 첫번째로 요구되는 것은 아크릴 칼라들이 매우 걸쭉하기 때문에 많은양의 물로 먼저 희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물로만 희석할 경우에는 물감의 점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얇게 스프레이된 표면위에 물감의 점착력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싶다면 물에 20%의 페인팅 미디엄을 섞어 사용하면 점착력 유지는 물론 자품의 보호에도 좋다.
3.IMPASTO GEL MEDIUM
이것은 두껍고 투명하면서 광택이나는 효과를 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보조제이다. GEL MEDIUM은 아크릴릭 작업시 임파스토 작업이나 여러번 덧칠하는 작업, 매끈한 글레이즈나 텍스추어가있는 글레이즈 작업시 반죽같은 성질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주요 혼합 미디엄이다. 특히 GEL MEDIUM의 고형이면서 버터와 같은 성질은 강한 텍스추어 효과를 원할때 PALLET KNIFE를 이용해서 쓰기에 적합하다. 물과 SPREADER MEDIUM으로 희석하면 두껍지만 매끄러운 글레이즈에 이용할 수 있다.또한 점착력이 있으면서 퍼지지 않는 성질로 인해 예술가들의 두꺼우면서도 깊이가 있는 세련된 붓 터치를 가능케 해 준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물감을 빨리 건조시키기 위해 무리하게 열을 가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표면만 마르게 되어 표면의 페인트 층들이 물기가 있는 밑층의 통풍구를 영구적으로 밀폐시켜 버린다. 결론적으로 금이 가고 쭈글쭈글해지며 비틀어진다.GEL MEDIUM은 위에서 설명한 역할 외에도 여러가지 역할을 할 수 있다. GEL MEDIUM은 마르고 나면 윤이 나는데 기타 바니쉬와 함께 함께 사용하면 광택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다. GEL MEDIUM은 또한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GALLAGE작업이나 모래, 구슬, 톱밥, 섬유 등 모든 다른 종류의 재질들을 캔바스나 보드지에 붙일때 사용하면 우수한 접착제 구실을 할 것이다. 도하나 처리가 다 끝난 그림위에 넓게 펴 바르면 마르는 시간이 자연히 지연되고 따라서 그 마르는 시간동안 마지막 코팅할 때 붓터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아크릴 칼라와 섞어 쓰면 부피가 2배로 증가되어 텍스추어에 아주 좋으나 마르고 나면 수분이 증발하여 두께가 반정도 줄어듬으로서 워하시는 작업의 표현을 할 때 이 점을 이용하면 좋은 기법이 될 것이다.
4.FLOWCONTROL MEDIUM(유동체)
성분 : ACRYLIC RHEOLOGY MOTIFIER
물감의 입자를 고르게 만들고 점도도 줄이는 역할을 한다.만일 당신이 아크릴 물감만을 그냥 붓에 묻혀 선을 그린다면 처음과 끝의 굵기와 진한 정도가 다를뿐만 아니라 별로 길게 그리지도 못하실 것이다. 하지만 FLOWCONTROL MEDIUM을 물감에 섞은 후에 붓으로 선을 그린다면 고른 굵기와 색채로 아주 길게 선을 그릴 수 있음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수퍼 리얼리즘 등의 작업을 할 때나 스프레이 또는 에어 브러쉬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물과 미디엄의 비율을 1 : 1로 섞어 사용해도 된다.
5.WATERCOLOR MEDIUM
성 분 : CARBOXYLATD ACRYLICSOLUTION POLYMER
수채화 효과를 내는 미디엄이다. 물론 물을 사용해도 되지만 물을 사용하면 색감이 전체적으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워터칼라 미디엄을 사용하게 되면 색감의 변화는 거의 없이 수채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일단 마른 후에는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아크릴물감을 덧칠하더라도 번지지 않느다. 비율 제한없이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다.
6.RETARDER(지연제)
성분 : GLYCOL ETHER
때론 아크릴 물감이 너무 빨리 말라 작업이 불편하실 때가 있을 것이다. 이때 리타르더를 사용하면 된다. 리타르더는 말 그대로 물감이 마르는 것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지연제와 물의 비율을 1 : 9로 섞어서 분무해가며 작업하면 천천히 작업할 수 있다. 많이 섞게 되면 건조 시간이 5일 이상 걸릴 수도 있으므로 잘 조절해 가며 사용하는 것이 최상책이다. 리타르더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물감을 덧칠하는 작업이 어려우므로 조절해서 사용해야 한다. 지연 시키는 역할 외에 또 한가지 중요한 역할은 정밀한 COLOR GRADATION에 매우 유용하며 수채화 기법에도 사용되며 수분을 흡수하느 성질이 있기 때문에 붓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넓은 표면을 아크릴 칼라로 엷게 칠할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물감이 마르고 난 후의 색깔을 미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아크릴물감에 섞어 쓰게 되면 마른 후에도 색깔의 변화가 없으므로 당신의 마음에 꼭 드는 색갈을 그대로 캔바스에 옮길 수 있다.
7.IMPASTO MEDIUM
이것은 GEL이 아니고 농축되어 반죽같이 느껴지는 투명한 상태의 화합물로써 아크릴 물감과 섞어서 붓이나 나이프로 칠할 수 있다. OIL PAINTING, BRUSH STROKE와 임파스토 페인팅 기술에 매우 적합하며 특히 칼라를 묵직하게 쌓아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된다. 임파스토 미디움은 건조되면 낮은 광택을 지니며 방수 효과도 가진다. 물감과의 비율은 제한없이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지만 1 :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붓의 터치나 텍스추어 효과를 낼 때 사용되며, 마르고 난 후에도 줄어들거나 갈라지거나 뒤틀리지 않는다.
8.SURFACE TENTION BREAKER(표면 장력 제거제)
이것은 표면의 장력을 제거하여 색상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보조제입니다. 즉, 물과 혼합된 페인트 안에 SURFACE TENTION BREAKER 가 들어 있으면 종이나 초벌칠되지 않은 캔바스같은 천에 물감이 좀 더 쉽게 스며들 수 있습니다. SURFACE TENTION BREAKER는 색감의 변화없이 물감을 잘 흘러내리게 만들어 수채화 기법에 특히 유용하며 얼룩지게하는 기법이나 시각적인 기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좋은 효과를 위해서는 항상 작업하기전에 물로 희석시켜야 합니다. 5-10%의 SURFACE TENTION BREAKER를 넣은 한통의 물을 준비해서 이 물을 그림 전체에 사용한다. 그로스 폴리머 바니쉬(글로스 미디움)나, 젤 미디움이나 아크릴릭 페인팅 미디움과 같은 다른 보조제들도 물로 미리 희석한 SURFACE TENTION BREAKER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250ML의 아크릴 물감이나 보조제에 한 스푼의 SURFACE TENTION BREAKER를 첨가하면 매우 주목할 만한확산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미디움은 항상 물로 미리 희석해야 한다.
9.MATTE MEDIUM
이 미디움은 최종 바니쉬가 아니라 칼라와 섞어서 사용하는보조제입니다. PASTER 나 TEMPERA효과를 원하실 때 매트 미디움과 물감을 같은비율로 혼합한다. 매트 미디움은 가장자리의 광택을 없애 주고 의도적으로 액센트를 준 붓자국의 부자연스러움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매트 미디움은 또한 캔바스나 종이위에 투명한 방수용 풀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매트미디움으로 더 강도있는 종이와 수분에 안정된 캔바스를 만들 수 있다. 매트 미디움은 절대 최종 바니쉬가 아니다.
10.MATTE VARNISH
이것은 작업이 완전히 끝난 후 낮은 광택의 보호막을 만드는 최종 마무리 바니쉬로 사용해야 한다. 임파스토 작업이나 오일페인팅 위에 사용하면 시각적 효과가 감소될지도 모르므로 사용을 피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 화랑에 노출되어 있는 커다란 작품에 보호칠 용으로는 아주 적절합니다. 부드러운 붓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물과 잘 희석해야 하는데 물의 양은 바니쉬의 두께와 마르는 시간을 결정하므로 잘 조절해야 한다.
11.POLYMER GROSS VARNISH
매트 바니쉬와 같은 방법으로 최종 마무리 작업에서 광택을 내고 보호막을 만들며 작품을 깨끗하게 하는 바니쉬로 사용하면 된다.폴리머 글로스 바니쉬로 처리된 그림들은 마치 유화와 광택있는 에나멜로 만든 작품처럼 보인다. 모든 마티스 페인팅 미디움들은 자유롭게 혼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로스 바니쉬의 광택은 매트 바니쉬와 혼합하므로써 줄일 수도 있다.
12.SPREADER MEDIUM
원하는 페인트양에 이를 때까지 스프레더 미디움을 첨가하면 물감의 점도는 유지하면서 많은 양의 COLOR를 칠할 수 있다. 덩어리가 생길 수도 있으니 소량의 물로 미리 희석하는 것이 좋다. 스프레더 미디움은 투명하면서 유동성이 있는 일종의 풀이라고 할 수 있는데 페인트를 매우 부드럽게 만들어 주고 잘 흘러 내리게 만들며 붓의 터치를 줄이는데도 효과적이다. 스프레더 미디움은 완전히 투명하게 마르며 얼룩 또한 거의 남지 않는다.
13.GESSO
GESSO는 밝은 흰색으로 모든 아크릴 작품에 사용되는 불투명한 밑칠용 보호제이다. 절대 갈라지거나 퇴색되지 않으며 방수효과 또한 완벽하다. 반사광이 없으며 표면에 텍스추어를 만들거나 넓은 하얀 칠이 필요할 때 쓰여진다. 물을 적게 사용하는 것이 작품의 오랜 보존을 위해 바람직하며 수직, 수평으로 세번 얇게 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그리고 광택을 낼 수도 있다.
14.SATIN VARNISH
민속 미술 기법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만든 보조제입니다. 이 수성의 바니쉬는 아크릴로 칠해진 모든 표면에 깨끗하고 변색되지 않는 끝손질을 해 줍니다. 유성 물감이나 유성의 민속품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15.CLEAR SEALER
이것은 민속 미술 기법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합성된 보조제로 나무, 유리, 자기, 금속재 등에 쓸 수 있다. 그림의 초벌칠용이나 부드러운 표면에 마띠에르를 낼 때 사용한다.
16.FABRIC FIXATIVE
민속 미술 기법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합성된 보조제로 대부분의 천 작품에 사용할 수 있다. 단 열을 가하면 안된다. 물감을 염색 물감으로 변화시켜서 사용할 때 FABRIC FIXATIVE와 물감을 같은 비율로 섞는다. 합성 인쇄나 손으로 그린 디자인은 3-5분쯤 말린 후 다리미로 다리면 된다.
17.HIGH GROSS VARNISH
맑고 광택이 나는 최종 마무리 바니쉬로 빨리 마르는 습성이 있다. 아주 많은 광택을 언하실 때는 완전히 마르고 난 후에 한번 더 코팅을 해야 한다.(미네랄 테레빈유로 다시 용해할 수 있습니다.)
18.MATTE VARNISH(TURPS BASED)
광택없는 표면을 원할 때 최종 마무리 바니쉬로 사용한다.(미네랄 테레빈유로 다시 용해할 수 있다.)
19.LINO BLOCK INK
이 제품은 미술과 공예를 위해 만들어진 우수한 품질의 전문적인 인쇄 잉크로써 물로 닦아낼 수도 있습니다. 인쇄기를 사용하면 가장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모든 COLOR와의 혼합도 가능합니다. WHITE를 소량 첨가하면 훌륭한 불투명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만약 잉크를 얇게 만들고 싶을 때는 물을 넣지 말고 DERIVAN DRYING RETARDER를 넣는다.(물을 첨가하면 농도가 감소된다.) 프린트 후에 프린트와 사용된 모든 인쇄 용기는 찬물이나 미지근한 물로 씻어낼 수 있으며 잘 지워지지 않는 얼룩이라도 소량의 암모니아수를 넣은 비눗물로 쉬게 닦아낼 수 있습니다. 변성 알콜은 이미 다른잉크에 대해 뛰어난 세척효과를 가진다. LINO BLOCK INK로 만들어진 잉크기 때문에 마르면 방수가 되며 일상 기온에서 1-3일 정도가 지난 후에 최상의 방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인쇄가 아주 빨리 마르며 칼라가 아주 밝고 강한 것이 특징인데 중요한 점은 압력을 가해서 잉크가 얇게 코팅될 수 있도록 아주 딱딱한 고무나 합성 고무판을 이용해야 된다는 점이다. 코팅이 얇을 수록 칼라가 더욱 밝은데 잉크층이 두껍게 되면 마르는 속도를 더디게 하고 칼라도 탁하며 부서지기 쉽게 되므로 조절해서 사용해야 한다. LINO BLOCK INK는 용해되는 성질도 가지고 있어서 에칭(동판화)에도 이상적이다.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두어도 말라 붙지는 않지만 세균 오염과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밀폐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LINO BLOCK INK는 만족스러운 LINO BLOCK PRINTING이 되도록 두껍고 점착력이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3-5%의 물이나 변성 알콜로 희석시키면 잉크가 흐르는 성질을 갖게 된다. 물대신 변성 알콜로 희석 시키면 잉크가 흐르는 성질을 갖게 된다. 물대신 변성 알콜을 첨가하면 건조 효과를 증가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많이 첨가하면 방수 효과를 저해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이 잉크는 약 10가지 색상이 있다.
'미술이론 Open강좌 > 미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키스_esquisse (0) | 2012.07.17 |
---|---|
안료_Pigment-유화안료 (0) | 2012.07.17 |
실크스크린_Silk screen (0) | 2012.07.17 |
실루엣_Silhouette (0) | 2012.07.17 |
스푸마토_Spumato (0) | 201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