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이론 Open강좌/미술용어319

아방가르드/Avant-Garde(프) 아방가르드(Avant-Garde) 아방가르드의 기원 예술이 시대를 앞서간다는 생각은 19세기 이후 예술가들의 세계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널리 유포된 일종의 통념이라고 할 수 있다. 시대를 앞서가는 예술에 부여된 명칭이 ''아방가르드''이며, 적어도 지난 세기동안 이 용어는 예술가들의 자율적 활동을 강화하는 가장 혁신적인 이념이었다. 전통의 권위에 대한 강력한 반항과 거부감을 바탕으로 한 아방가르드의 이념은 "파괴하는 것은 곧 창조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한 바쿠닌(M.Bakunin)의 무정부주의적 공리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즉, 파괴에 의한 창조는 모두 반전통적이고 극단적인 운동을 포괄하는 하나의 개념영역으로서 아방가르드의 활동을 요약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문학·예술·종교 등에서 자기.. 2023. 9. 25.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 고등학교 2학년 회화 전공 학생 수업내용 중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비단 애니메이션에만 국한된 용어는 아니다. 사람이나 동물 등 살아있는 대상물을 생동감 있게 그리는 행위로 크로키보다는 시간적으로 여유 있게 기본적으로 20~30분 이상의 시간에 그리는 그림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학과나 미술대학에서 현재 라이프 드로잉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그 중요성이 무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설명 : 2014년 11월 07일 원장선생님 구로구미술학원 2014. 11. 7.
아콰틴트(Aquatint) 아콰틴트(Aquatint) Maitha Abdeljalil,Legends, etching and aquatint 이미지 출처 : http://www.arteeast.org/pages/artenews/emirati-art/197/ 동판화의 일종. 아콰틴트(물,Aqua)는 수채화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뜻에서 나왔는데 판면에 송진가루를 떨어뜨린 후 뒷면에서 열을 주어 녹여 정착시키고 부식액에 넣어 부식시킨다. 송진가루가 녹은 부분이 부식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인데 송진가루외에도 아스팔트분말이나 래커스프레이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소프트그라운드에칭방식제에는 빨리 건조되고 딱딱한 괴막이 형성되는 것과 눅눅한 것이 있는데 크레용이나 콘테의 느낌 또는 지문이나 나뭇잎,천의 조직 같은 효과를 얻는데 이용된다.. 2013. 6. 24.
아카데미즘과 앙데팡당전 아카데미즘과 앙데팡당전 아카데미는 예술가난 문필가 또는 학자 등 전문가들로 조직된 단체로 그 중에서도 특히 교육적 기능을 갖추고 있는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미술 아카데미는 중세의 장인제도로부터 작가들을 해방시키고 미술가의 신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르네상스시기에 설립되었다. 그런데 아카데미는 이러한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아카데미에서 규정한 원칙과 양식에 충실히 따르지 않는 작가나 작품을 철저하게 배제하는 방향으로 나갔다. 그 결과 아카데미는 미술의 발전에 저해가 되는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미술사적으로 아카데미즘은 가장 강력한 아카데미, 즉 고전적 규범에 충실한 고전주의적 경향을 지칭하지만 시대에 따라 주류의 미술을 형성하고 있는 미술일반을 가리키기도 한다. 앙데팡당은 이 아카데미에 반대하는 독립적이고.. 2013. 6. 24.
아상블라주(Assemblage) 아상블라주(Assemblage) 폐품이나 일용품을 비롯하여 여러 물체를 한데 모아 미술작품을 제작하는 기법 및 그 작품. ‘아상블라주’란 프랑스어로 집합·집적을 의미하며, 특히 조각 내지 3차원적 입체작품의 형태를 조형하는 미술상의 방법을 말한다. 종이나 베의 조각 등을 화면에 풀로 붙이는 큐비즘의 콜라주에서 비롯되었지만, 콜라주가 평면적인 데 대하여 아상블라주는 3차원적이다. 1961년 뉴욕에서 열린 아상블라주전(展)의 기획자 W.사이츠는 “아상블라주는 무엇보다도 먼저 예술품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물체의 집적이어야만 한다”고 정의하였다. 피카소의 《압생트 술병》(1912) 등이 선구적 작품이지만, 본격적인 개화(開花)는 다다이즘 및 초현실주의,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네오다다이즘, 팝아트, 누보레.. 2013. 5. 23.
아르테 포베라(Arte Pobera) 아르테 포베라(Arte Pobera) 소재에 가능한 한 손질을 가하지 않고 배치하는 방법이나 주위공간 등을 통해 현실 세계에 대한 작가의 태로를 표명하려고 한 것. 이탈리아어로 '빈곤한 예술'을 뜻한다. 2013. 5. 22.
아르카익 미술(Archaic Art) 아르카익 미술(Archaic Art) 아르카익 시기의 미술은 단순한 외부 묘사보다 인체의 구조적인 부분을 표현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초기 아르카익 시기의 작품들은 이집트 조각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정면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조각상의 얼굴에 항상 미소를 머금고 있는 ‘아르카익의 스마일’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 옥세르부인상(기원전 650년 경), 코우로스상 (기원전525년경)이 있다. 2013. 5. 21.
아르 브뤼(Art Brut) 아르 브뤼(Art Brut) Art Brut, Barcelona / Sixeart ++ 세련되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거친 형태를 지닌 미술로 정신병원의 환자등 예술과 관계 없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만을 위해 만든 것으로 인간 삶의 기반이 표현된다. 1940년대 프랑스 화가 장 뷔페(Jean Duffet)가 아마추어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종의 순수한 미술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으로 처음에는 반교양주의적, 반회화적 입장을 가리켰지만 후에는 종말에 달한 서구의 지적 풍토를 재생시키기 위한 기폭제로 인정되었다. 뒤뷔페는 무의식적인 마음에서 자발적으로 그려진 정신병자나 어린이의 작품은, 고도로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직업 화가의 작품보다 훨씬 적나라하고 창조적인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고 자신의 .. 2013. 5. 21.
아르 데코(Art Deco) 아르 데코(Art Deco) 1925년 파리에서 개최된 ‘현대장식미술·산업미술국제전’에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파리 중심의 1920∼30년대 장식 미술. 아르 데코라티프( art decoratif:장식미술 )의 약칭이며, ‘1925년 양식’이라고도 한다. 흐르는 듯한 곡선을 즐겨 썼던 아르 누보(art nouveau)와는 대조적이며 기본형태의 반복, 동심원(同心圓), 지그재그 등 기하학적인 것에 대한 취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기계시대로 들어선 신생활과의 관련을 당연히 지적하게 되며, 기하학 형태는 꼭 합리적 또는 기계적인 해결에 의해서만 처리되지 않았고, 오히려 우아한 취미에 뒷받침되어 있다. 아르 데코 원천의 하나가 이국정서에 넘친 러시아발레단에 있었던 사실로도 알 수 있듯이, 어떤.. 2013. 5. 2.
아르누보(Art Nouveau) 아르누보(Art Nouveau) '신 미술' 이라는 뜻으로 1890년대에 자연주의적이고 유기적인 형체를 구사했던 장식미술. 회화만이 아니라 건축과 디자인도 포함된다. ‘아르누보’는 영국·미국에서의 호칭이고 독일에서는 ‘유겐트 양식(Jugendstil)’, 프랑스에서는 ‘기마르양식(Style Guimard)’, 이탈리아에서는 ‘리버티 양식(Stile Liberty:런던의 백화점 리버티의 이름에서 유래)’으로 불린다. 아르누보는 유럽의 전통적 예술에 반발하여 예술을 수립하려는 당시 미술계의 풍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특히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클림트나 토로프, 블레이크 등의 회화의 영향도 빠뜨릴 수 없다. 아르누보의 작가들은 대개 전통으로부터의 이탈, 새 양식의 창조를 지향하여 자연주의·자발성·단순 및 .. 2013. 5. 2.
실크 스퀘어(SILK SQUARE) 실크 스퀘어(SILK SQUARE) Grounds가 실크스퀘어에 싸여 있다면, 공형의 기구에 들어 있는 grounds를 조작하는데 용이. 실크는 또한 열을 받은 금속판 위에 접촉되면서 녹는 grounds을 걸러 내는데 이용. 2013. 5. 2.
실경산수(實景山水) 실경산수(實景山水) 오용길 / 가을서정-만추_209 x 110cm _ 한지에 _ 수묵담채 _ 2011 고려시대와 조선 초·중기에 자연경관을 소재로 그린 산수화. 실경화라고도 한다. 주로 실용을 목적으로 그렸으며, 뒤에 나온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발전에 바탕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그려진 것으로는 전공지(田拱之)의 《서산도(瑞山圖)》를 비롯, 이영(李寧)의 《예성강도(禮成江圖)》와 작가 미상인 《진양산수도(晋陽山水圖)》 《송도팔경도(松都八景圖)》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조선시대로 이어지고 소재도 더욱 다양해져, 명승명소(名勝名所)와 별서유거(別墅幽居)·야외아집(野外雅集) 등의 유형을 낳으면서 발전하였는데, 명승명소를 소재로 한 그림에서는 《금강산도》가 주종을 이루고, 또 《한강도》 《삼각산도》 .. 2013. 5. 2.
신즉물주의(新卽物主義:Neue Sachlichkeit) 신즉물주의(新卽物主義:Neue Sachlichkeit) Otto Dix (German, 1891-1969) / To Beauty 1922 / Oil on canvas _ 55 1/8 x 48 1/16 in. (140 x 122 cm) Von der Heydt-Museum, Wuppertal 20세기 독일에서 일어난 반(反)표현주의적인 전위예술운동. 신현실주의 또는 독일어로 노이에 자흐리히 카이트라고 한다. 이 명칭은 1923년 하르트라우프가 1920년대 회화에 있어서 사실주의적 경향을 총칭하기 위해 “신자연주의”라 칭하였다가 만하임미술관에서 미술관장 하르트라우프가 기획하여 열린 전람회[신즉물주의:표현주의 이후 독일회화]의 이름에서 나왔다. 신즉물주의 회화는 전쟁후 표현주의가 찬미했던 인간과 그가 만들어낸.. 2013. 4. 7.
신조형주의(neo plasticisme)/데 슈틸(De Stijl) 신조형주의(neo plasticisme)/데 슈틸(De Stijl) 네덜란드어의 "양식" 이란 뜻으로서, 반 되스부르크와 몬드리안, 건축가 리트펠트가 1917년부터 1931년까지 주도했던 미술운동의 이름이자, 이들 이념의 강령을 담고 전달한 책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P.몬드리안을 중심으로 한 기하학적 추상주의의 일파 또는 그 운동. 신조형주의라고 번역한다. 1917년 반 도스부르흐, 반톤게르로 등과 잡지 《데 슈틸:De Stijl》을 발행하고 순수한 조형회화 운동을 추진하였다. 1920년에 발간된 몬드리안의 《새로운 조형:Le neo plasticisme》은 그 이론적 해명이다. 이 책은 25년 《바우하우스 총서》의 한 책으로 출판되었는데 이는 이 운동이 바우하우스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말해주고 있다. 네.. 2013. 4. 7.
신인상주의(Neo-impressionnisme:新印象主義) 신인상주의(Neo-impressionnisme:新印象主義) 쇠라 / 아니에르에서의 물놀이 / 1884 / 캔버스에유채 / 영국 런던 국립미술관 소장 근대 프랑스 회화의 조류. 인상주의를 과학적 방법으로 추진하고자 한 운동. 신인상주의는 G.쇠라, P.시냐크등을 중심으로 행해진 점묘주의등의 이론과 수법 및 그 운동을 말한다. 쇠라가 죽은 뒤에는 시냐크가 그 대변자가 되었다. 빛의 분석은 인상주의의 수법을 계승하면서도 인상파의 본능적· 직감적인 제작 태도가 빛에만 지나치게 얽매인 나머지 형태를 확산시킨다는 점에 불만을 느끼고, 여기에 엄밀한 이론과 과학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색채를 원색으로 환원하여 무수한 점으로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통일성을 유지하였다. 즉, 그림물감을 팔레트나 캔버스 위에서 혼.. 2013.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