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이론 Open강좌/미술용어

비구상미술(非具象美術:Art Non-Figuratif)

by 태풍되고픈천둥 2012. 9. 25.

 

비구상미술(非具象美術:Art Non-Figuratif)

 

<서양화가 정미영 선생님 작품>

 

 직관이나 상상으로 자유로이 표현하려고 하는 미술. 광의의 추상회화에 속하며 농피귀라티브(Non-figuratif)라고도 한다. 이는 피귀라티브(figuratif), 즉 구상·상형 또는 형상에 대한 조형개념으로, 구상적 또는 즉물적인 외계의 이미지를 조형면에 남기지 않는 것을 뜻한다. 1910∼16년 무렵부터 많은 작가들이 각기 독자적인 탐구를 거듭하여 일체의 자연주의에서 탈피한 선·색·형태의 조작에 의해서만 내적 정감을 순수하게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하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들은 칸딘스키를 비롯하여 오르피즘(Orphism)의 들로네, 쿠프카, 레요니즘의 라리오노프, 구성주의의 타틀린, 비대상주의(非對象主義)의 로드첸코, 절대주의의 말레비치, 그리고 몬드리안 등이었다. 음악이나 건축과 같은 내적 자율성을 찾아 저마다 조형수단 속에 자연을 추상화한 것으로, 거기에서 추상미술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다음으로 20년을 전후해서, 이 추상미술이라고 불리는 것이 특히 몬드리안이나 데 스틸 운동에 의해 자연에 대한 독립성과 예술적 자율성을 확립하는 데 따라, 더욱 본질적 명칭이 필요해져 신조형주의를 주창하게 되었다. 작품의 모티프가 된 외계의 대상을 변형시킨 입체파, 제재를 거의 인정할 수 없을 정도로까지 원형을 단순화해버린 실험적 작품도 일반적으로는 추상이라고 부른다. 그러한 객체적인 자연형태와의 연관을 남긴 것과는 분명히 구별하기 위해, 순수한 추상미술을 비구상미술이라고 이름지은 것이다.  즉, 추상미술의 제2의 단계이다. 32년 파리에서 결성된 그룹 ‘추상·창조’는 각 경향의 추상예술가를 쉬르레알리슴(초현실주의)에 대항해서 재조직하려는 것이지만, 그 선언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①비구상:설명적·문학적·자연주의적인 요소를 일체 배제한 순수 조형의 개발,
②추상:자연의 여러 형태에서의 점진적(漸進的) 추상에 의해 비구상의 개념에 달한 것,
③창조:순수하게 기하학적인 질서에 의하거나 또는 원·면·선이라고 하는, 보통 추상적이라고 불리는 요소만으로 직접 비구상에 달한 것이다.
 즉, 자연의 묘사를 저버린 비구상예술 속에는, 몬드리안처럼 수목(樹木)의 사생으로부터 차차 추상화해가는 것과, 모티프 그 자체가 대상을 갖지 않는 공간의 요소인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이 쓰이고 있는 농피귀라티브의 개념은 ‘추상·창조’ 시대와 많이 달라지고 있다.  전후의 추상은 전의 창조에 해당하는 순수한 기하학적인 구성을 가리키는 데 대해, 거꾸로 비구상은 예전에 추상이라고 불린 것과 같은, 구상과의 관련을 남긴 추상예술을 뜻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의 배후에는 추상예술 그 자체의 커다란 추이(推移)가 있다. 쉬르레알리슴은 고전적 인간관을 깨뜨리고 생명의 근원이나 무의식(無意識)의 세계를 탐구하려고 해서, 인체나 동물이라고 하는 생물학적 형태(形態)의 단편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작품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래서 생명적 리듬에 찬 곡선이나 터치는 추상적 세계와 외적 시각(外的視覺)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 자연과 인간이 교류하는 리듬을 나타내려고 하는 선이나 브러시 터치를 보이는 그림도 쉬르레알리슴에 나타난다.  그리고 큐비즘을 다시 검토하여 추상세계와 현실의 생활공간과의 연결을 되찾으려는 요구도 강하다. 그래서 인물이나 풍경과 같은 외부세계의 모티프로부터 출발해서, 그 형태를 빛과 윤곽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구성해가면서 자연으로부터 추상된 이미지와 내적 관념 속에서 생겨나는 이미지와의 통일을 강하게 찾고 있다. 이것은 바로 추상예술이 그것과 대항하여온 쉬르레알리슴과 새로운 교류나 종합의 단계에 들어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30년대의 추상과 창조는 전후의 농피귀라티브 속에 종합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차가운 추상’에서 ‘뜨거운 추상’으로의 움직임으로 꽤 일반적인 것이 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살롱 드 레알리테 누벨’이 중심이 되어 추상미술의 국제적 거점이 되었으나, 벌써 형식주의적 장식성에 빠져들어 순수한 조형정신을 잃어버렸다.  미국에서는 비대상미술(非對象美術)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의 농피귀라티브의 작품은 그런 만큼 추상과 구상, 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의 절충이라고 하는 약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