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이론 Open강좌440

미법산수_米法山水 미법산수(米法山水) 중국 송(宋)나라 때의 문인화가 미불·미우인(米友仁) 부자가 창안하였다고 전해지는 수묵산수화법. 동원(董源)의 화법에서 배웠다고 전해진다. 윤곽선을 쓰지 않고 산의 대체적인 형태나 나무의 줄기·가지를 먹의 바림[渲染]으로 만들어내고 거기에다 먹의 점을 포개어 그리는 방법이다. 이 먹의 점묘(點描)를 미점(米點)이라고 한다. 2012. 7. 21.
미래파(未來派)/미래주의_未來主義 : Futurism 미래파(未來派)/미래주의(未來主義 : Futurism ) Carlo Carra 기존의 가치와 문화에 대한 혁신을 시도한 운동인 미래주의는 20세기 초 현대미술의 중심지 였던 파리가 아닌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운동이다. 이탈리아어로 푸투리스모라 한다. 그 당시 이탈리아는 정치, 경제가 상당히 낙후되어 있던 상태였고, 미술에서는 1905년이 지나서야 인상주의, 신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 상징주의, 아르누보 등의 다양한 조류 등이 전해졌다. 미래주의는 이러한 조류들의 유입으로 야기된 혼란을 극복하여 이탈리아를 현대미술의 주류로 내세우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새로운 세계관이다. 전통을 부정하고 기계문명이 가져온 도시의 약동감과 속도감을 새로운 미(美)로써 표현하려고 하였다. 또한 미래주의 운동은 이탈리아 버.. 2012. 7. 21.
미니멀 아트_Minimal Art 미니멀 아트(Minimal Art) ‘최소한의 예술’이라는 뜻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미술에 부각된 한 경향이다. 미니멀 아트는 ABC Art, Primary Structures, 순수 오브제, 체계적 회화, 환원 예술, 부정적 예술, Cool Art, 제 3의 흐름, 실재의 예술 등 그 명칭이 다양하다. 1965년 영국의 철학자 R.월하임이 처음으로 20세기의 특수한 예술적 동향을 논한 논문의 제목으로 사용 하였는데, 논문에서는 M.뒤샹의 기제품(旣製品)의 오브제, A.라인하트에 의한 모노크롬의 회화 등을 문제삼아, 의식적으로 이의 미적 가치를 저감시킨 작품군을 지칭하여 미니멀아트라 하였다. 여기에서 '최소한'이란 일루전의 극소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은 회화의 감동성, 마티에르의 풍부함 내지 .. 2012. 7. 21.
뭉크_Edvard Munch 뭉크(Edvard Munch 1863.12.12~1944.1.23) 뭉크/ 절규 노르웨이의 뢰텐 출생인 뭉크는 아버지가 의사였으나 심한 이상성격자였으며, 일찍이 어머니와 누이를 결핵으로 여의고, 그 자신도 병약하였다. 그와 같은 환경과 육체가 그의 정신과 작풍에 영향을 끼쳤다. 노르웨이 태생의 작가였지만 뭉크는 후진적인 19세기말의 북유럽을 탈피하고자 했다. 그 결과 독일 미술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 또한 독일의 미술, 특히 표현파에 깊은 영향을 끼치는 등 독일에서 화가로서의 꽃을 활짝 피웠다. 오슬로의 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1881∼84), 급진적인 그룹의 영향을 받았는데, 초기작품 《병든 아이》에서 볼 수 있는 삶과 죽음의 응시는, 그 후의 작품에서 일관하고 있다. 1889년 한여름을 바닷가의 .. 2012. 7. 21.
문인화_文人畵 문인화(文人畵) 전문적인 화가가 아닌 시인·학자 등 사대부층 사람들이 여기(餘技)로 그린 그림으로 학문과 관리생활 그리고 서예와 詩作을 위주로 하는 문인들은 원래 그림을 그리는 계층이 아니었다. 중국에서 북송 후반기에 일군의 화가들이 나타나서 새로운 형태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후 오랜세월에 걸쳐 문인 들이 많은 작품을 남긴 것을 문인화라 한다. 중국 명말(明末)의 대표적 문인인 동기창(董其昌)이 그의 《화지(畵旨)》에서 제시한 중국 문인화가의 계보에서는 당(唐)나라 때의 시인이며 그림에도 능했던 왕유(王維)를 첫손에 꼽는다. 그후 동원(董源)·거연(巨然)·이성(李成)·범관(范寬)·이공린(李公麟)· 왕선(王詵)·미불(米?·미우인(米友仁) 등을 열거하고, 다시 원말(元末)의 대가로 황공망(黃公望)·왕몽(.. 2012. 7. 21.
문방사우_文房四友 문방사우(文房四友) 문방(文房)이란 문한(文翰;글짓는 일)을 다루는 곳 즉,문사(文士)들의 방이란 뜻이다. 문방에 없어서는 안 될 종이(紙),붓(筆) ,먹(墨),벼루(硯)를 문방의 사우(四友)라 하며 혹은 문방사후(文房四候),사보(四寶)라고도 한다. 문방사후란 것은 사우를 의인 화시켜 각각 벼슬이름을 붙혀 준 것이다. 1.붓(筆) ①붓의시작 문자가 생기면서부터 모필(毛筆)이 쓰여지기 전에는 뾰족한 것으로 뼈조각이나 금속과 돌에 새겼다. 문헌에 의하면 붓을 처 음 만든 사람은 몽염이라는 진(秦)나라 사람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중국 은대(殷代)에 이미 모필(毛筆)로 쓴 도기의 조각이 발 견되는 것으로 봐서 몽염이전시대에도 붓의 형태를 지닌 것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②붓의재료 붓은 주로 동물의 털이나, .. 2012. 7. 21.
무용총_舞踊塚 무용총(舞踊塚) 고구려 무용총의 수렵도 중국 둥베이[東北]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의 고분벽화(古墳壁畵). 광개토왕릉비의 북서쪽 약 1 km 지점에 위치하며 각저총(角抵塚)과 나란히 있다. 기저(基底)의 한 면이 약 15 m인 방추형(方錐形) 분구(墳丘)이며 높이는 3 m 내외이다. 널방[墓室]은 약 3 m 사방의 널방[玄室]과 가로로 긴 앞방[前室], 이것들을 연결하는 통로 및 널길[道]로 되어 있는데, 널방[玄室]의 바닥면에는 오른쪽 벽에 치우쳐서 4장의 판석(板石)을 배열한 널받침[棺臺]시설이 있다. 널방[墓室]은 괴석(塊石)을 쌓았고, 모줄임천장[抹角藻井天障]이며 회반죽을 두껍게 칠한 벽면에 벽화가 그려져 있다. 주실 정벽(正壁)의 접객도(接客圖)는 이 무덤의 .. 2012. 7. 21.
몽타주_Montage 몽타주(Montage) 미술에서 몽타주는 포토몽타주를 의미한다.프랑스어로 몽타주는 '결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있는데, 포토 몽타주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부분부분오려붙여 결합하여 하나의 색다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법을 의미한다.범인을 찾을 때, 목격자들에게 범인의 인상착의를 듣고 얼굴 부분부분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데,이것도 몽타쥬라고 이런 방식으로 미술품을 만드는 기법을 말한다. 2012. 7. 21.
몰골화_沒骨畵 몰골화(沒骨畵) 해산 김경래 동양화, 특히 중국회화의 기법. 골(骨)이란 회화성립의 한 요소인 구체적 필선(筆線)을 가리키며, 몰골은 필선의 부정(否定)이라는 뜻이다. 윤곽선을 나타내지 않고 선염(渲染)을 사용하여 화면효과를 올리는 색채주의적인 화법으로 윤곽을 선묘(線描)로 마무리짓는 구륵법(鉤勒法)과는 대극을 이루나, 이 기법들은 모두 화조화(花鳥畵)에 사용되었다. 몰선풍(沒線風)의 채색법은 당대(唐代)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여기서 말하는 몰골법은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수묵화에서 전화(轉化)된 것이다. 수묵(水墨)에 채색을 섞었다는 오대남당(五代南唐)의 화조화가(花鳥畵家) 서희(徐熙)의 형식이 그 원형으로 여겨지며, 심괄(沈括)의 말에 따르면 서희의 아들인 서숭사(徐崇嗣)가 이 기법의 창시자라.. 2012. 7. 21.
목판화_木版畵 : Wood Cut 목판화(木版畵:Wood Cut) 목재를 판재(版材)로 하여 직접 조각한 그림, 조각에 채색하여 종이·천[布] 따위에 찍어낸 그림이나 판재 위에 직접 그린 그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종류에 따라 목각화(木刻畵)·판화(版畵) 또는 목화(木畵)라고도 한다. ⑴ 목판에 볼록판[凸版]으로 조각하여 인쇄하는 판화를 중국에서는 목각화라고도 한다.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둔황[敦煌]에서 출토된 868년(咸通 9) 간행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책머리에 새겨진 판화로 보아 이미 당(唐)나라 말기(9세기)부터 정교한 목판화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元)·명(明)시대부터 청대(淸代)에 걸쳐 가장 성행하였으며, 주로 경(經)·사(史)·자서(子書)를 비롯하여 불전(佛典)·도장(道藏)·소설·극본 등의 삽화로.. 2012. 7. 21.
목탑_木塔 목탑(木塔) 목재로 건립한 탑파(塔婆). 삼국시대의 목탑은 여러 차례의 전란으로 다 소실되고 그 터만 남았는데, 경주 황룡사 9층목탑지(皇龍寺九層木塔址)와 사천왕사(四天王寺) 목탑지는 신라시대의 목탑 유지(遺址)이고, 부여 군수리(軍守里) 목탑지는 백제시대의 목탑 유지이며, 평양 청암리사지(淸岩里寺址) 목탑지는 고구려시대의 목탑 유지이다. 다만 목탑양식을 전해주는 유례로서는 조선 후기(17세기 초)의 건축물인 충북 보은(報恩)의 법주사 팔상전(法住寺捌相殿)과 전남 화순(和順)의 쌍봉사 대웅전(雙峰寺大雄殿)이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들의 건축양식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국 탑파는 본래 중국 탑파의 규범 아래 누각형식의 다층탑이 조종(祖宗)을 이루었던 것이며, 한국 탑파의 시원형식은 누각식 중충(重層)이었던 .. 2012. 7. 21.
목공예 목공예 작품 : 박준성 선생의 목공예 작품 나무는 그 성질이 다양하고 느낌이 담백하고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재료여서 옛부터 많이 사용돼 왔다. 그러나 그 보존이 오래지 못하고 불에 타는 성질도 있어서 남아있는 유품은 다른 것에 비해 많지 않다. 목공예는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가구나 의자 등으로 많이 사용 했는데 특히 우리 나라 목공예는 조선시대 미술에서 빠뜨릴 수 없는 공예품이다. 우리 나라 목공예 품으로는 머리장, 반닫이, 등의 장 종류와 사방탁자, 문갑, 필통, 초롱, 상, 목판 등 매우 많은데, 이들은 모두 나무의 결을 훌륭하게 이용했으며 장식품도 목재와 어울리게 사용해서 마치 달과 같고, 가을의 하늘과 같이 담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목공예의 재료나무는 거의 대부분의 나무를 사용하는데 우리 .. 2012. 7. 21.
모전탑_模塼塔 모전탑(模塼塔) 석재를 벽돌과 같은 모양으로 가공하여 건조한 탑. 대표적인 예는 경주 분황사(芬皇寺) 석탑으로, 넓은 토석 기단(基壇) 위에 안산암(安山岩)을 전(塼)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하였기 때문에 옥개석(屋蓋石) 받침과 낙수면은 모두 층단(層段)을 이루어 전탑 특유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있는 ‘양지(良志)’의 전탑 축조기록을 보면 이 모전탑에 앞서 전탑(塼塔)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12. 7. 21.
모사화_模寫畵 모사화 (模寫畵) 어떤 그림을 본보기로 그와 똑같이 그린 그림으로 학습을 목적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지만 좋지 않은 목적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 모사화가 원본보다 더 인정 받는 경우도 간혹 있다. 2012. 7. 21.
모빌_Mobile 모빌(Mobile) 움직이는 조각. 1932년 미국의 조각가 H.콜더의 작품이 오브제 모빌(움직이는 오브제)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면서부터 미술용어로서 사용되었다. 어느 한 점에서 받쳐진 추상조각이 대기의 움직임에 따라 미묘하게 움직이는 공간구성일 때, 철사나 가벼운 금속조각 등으로 역학적으로 균형 잡으며 실 또는 기타에 의해 공간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종래의 관념으로는 조각이란 움직이지 않는 것이며 다만 조각의 구성이 지니는 동세(動勢)가 움직임을 느끼게 할 뿐이었는데, 모빌은 종래의 조각과 무용의 중간위치에 있는 예술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즉 계속하는 시간 속에서 움직이고 변하는 입체구성을 보여줌으로써 근대조각에 새로운 요소를 더하여 혁명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실험에는 타틀린, 만 레.. 2012.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