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 Open강좌440 레이요그램_Rayogram 레이요그램(Rayogram)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감광 재료위에 물체를 얹어 거기에서 만들어지는 명암을 이용한 추상사진. 포토그램, 리하트 그라픽과 같은 것으로,파리에 있던 미국의 초현실주의자인 만 레이가 1923년 이라는 잡지 4월호 표지에 발표하면서 붙인 명칭이다. 뒤에 그는 1921년에 자비 출판의 한정판으로 레이요 그램 작품을 트리스탄차라의 시와 함께 발표했다. 2012. 7. 20. 레디메이드_ready-made 레디메이드(ready-made) M.뒤샹이 창조한 미적 개념. 일찍이 큐비즘 시대에 뒤샹은 도기로 된 변기(便器)에 ‘레디메이드’란 제목을 붙여 전람회에 출품함으로써 이 명칭이 일반화되었다. 뒤샹에 의하면 레디메이드, 즉 기성품을 그 일상적인 환경이나 장소에서 옮겨놓으면 본래의 목적성을 상실하고 드디어는 단순히 사물 그 자체의 무의미만이 남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브라크나 피카소, 또는 쉬르리얼리즘(초현실주의) 작가들이 바닷가의 조약돌이나 짐승의 뼈 등을 주워 오브제(objet)로 한 방법과 상통하는 것으로 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나타내는 것이다. 미에 대한 이러한 개념은 전후 유럽 미술, 특히 팝 아트 계열의 작가들과 누보레알리슴(nouveau realisme) 및 개념미술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 2012. 7. 20. 라지에디션_Large Edition 라지에디션(Large Edition) 작가나 간행자에 의해 대량으로 찍어내는 것을 말한다. 대개 판화의 한정부수는 100부나 200부 내외를 말하는데 시장원리에 따라개념의 차이에 따라 라지에디션 판화라고 말할 수 있겠으라 500부이상 1000부로 발행했다면 라지에디션이라 말할 수 있겠다. 소량으로 찍은 것 보다 가격이 낮게 책정되는 것은 당연하다. 2012. 7. 20. 라이트 아트_Light Art 라이트 아트(Light Art) 1960년대에 빛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살려,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조해 내려는 의도에서 여러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된 미술운동. ‘빛의 예술’이라는 뜻이다. 원래 조형미술은 시각미술이라는 점에서 생각할 때 빛과는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그러나 여기서 라이트 아트라고 부르는 것은 광선의 물리적 기능이라든가 광원(光源) 자체의 효과를 주로 다룬 작품을 가리킨다. 이러한 경향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나, 대체로 중요한 경향을 몇 가지 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작품과 인간의 눈 사이에 생기는 광학적인 효과를 노린 것(소토, 비자렐리 등의 착각이나 무아르 효과를 이용한 작품), ② 폰타나, 카마르고 등에 의해 추구되어온 작품에 주어지는 빛과 그림자.. 2012. 7. 20. 들라크루아_Delacroix, Ferdinand Victor 들라크루아(Delacroix, Ferdinand Victor:1798.4.26~1863.8.13) 프랑스의 화가. 샤랑트현(縣) 생 모리스 출생. 명문가 외교관의 아들로 명석하며 정열적인 상상력을 타고났다. 16세에 고전파 화가인 P.N.게랭에게 그림을 배웠고, 1816년 관립미술학교에 입학하였다. 이때부터 루브르미술관에 다니면서 P.P.루벤스, P.베로네제 등의 그림을 모사하였고, T.제리코의 작품에 매료되어 현실묘사에도 노력하였다. 1819년 제리코가 발표한 [메두사호(號)의 뗏목:Raft of the Meduse]은 그에게 낭만주의를 수립하는 결정적인 감격과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1822년 최초의 낭만주의 회화인 [단테의 작은 배]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 엿볼 수 있는 극적인 표현은 다비드풍(風.. 2012. 7. 20. 드리핑_Dripping/Dripping painting 드리핑(Dripping/Dripping painting) 붓을 사용하지 않고 그림물감을 캔버스 위에 떨어뜨리거나 붓는 회화기법. 20세기 초에 M.에른스트와 같은 화가가 때때로 이런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주목을 끌기 시작한 것은 액션 페인팅 화가들, 특히 J.플록이 이 방법으로 새로운 회화스타일을 창조했던 1940년대부터이다. 이 기법은 플록에 있어서 작품의 핵심을 이루는 행동이나 숙달된 서예적(書藝的) 동작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였다. 드립페인팅은 오토마티즘과 유사점이 많으나, 중요목표가 형식적 요소의 개발이라는 점과 잠재의식을 탐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2012. 7. 20. 드라이포인트_Drypoint 드라이포인트(Drypoint) 동판화 기법의 하나이다. 동판위에 매우 예리한 기구로 판을 긁어서 디자인하는판화방법으로 매우 정교하고 힘든 작업이지만 가장 단순하고 가장 직접적인 음각 과정이다. 드라이 포인트의 드라이라는 말은 이 기법이 부식용 초산액을 쓰지 않는데서 유래한다. 드라이포인트 니들 바늘은 끝이 날카롭고 예리한 강철제의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다이아몬드 포인트나 루비 포인트가 쓰이기도 한다. 이것을 써서 잘 연마된 동판또는 아연판이나 셀룰로이드도 좋다. 이때 새겨진 틈의 양쪽 또는 한쪽편을 따라서 바라고 불리는 거칠거칠한 것이 생긴다. 판면에 잉크를 발라 인쇄하면 바에 고인 잉크에 의해 선이 메워진 듯이 보여 부드러운 면의 효과를 살릴수 있는데 이것이 드라이포인트의 큰 매력이다. 바를 제거하면 .. 2012. 7. 20. 동판화_銅版畵 동판화(銅版畵) 동판(銅板)이나 아연판(亞鉛板)으로 요판(凹版)을 만들어 거기에 잉크를 발라 인쇄한 그림. 망목(網目)스크린의 부식제판(腐蝕製版:사진판)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으며 화가에 의한 창작만화만을 가리킨다. 예술적인 서양판화에는 목판화·강동판화(鋼銅版畵)·에칭(etching)· 석판화가 있는데, 동판화에 속하는 것은 강동판화와 에칭이다. 예전에는 철판이나 강철판을 재료로 썼으나 지금은 주로 동판과 아연판을 사용한다. 동판화는 직접 손으로 새기는 수공형식과 부식약제를 이용하는 에칭의 두 방법이 있다. 전자에는 뷔랭(burin)이라는 첨도(尖刀)를 써서 인쇄압력에 견딜 수 있을 만큼 깊이 파는 조각동판(engraving)과, 톱니 모양의 끌(rocker)로 미리 많은 요부(凹部)를 만들고, 금속인두(.. 2012. 7. 20. 동양화 동양화 동양화는 일반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내려온 전통의 동양적인 화풍을 말한다. 수묵화와 채색화의 두 가지 양식으로 분류되며 채색화에는 수묵채색화도 포함된다. 당나라 때 일어난 수묵화가 오랬동안 동양화를 특징짓게 된 것은 송대에서 명대까지의 문인 학자들이 그림을 단순히 대상을 묘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나아가 사상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인정하고 즐기면서 부터이다. 따라서 동양화는 서화로서 발전하여 먹, 벼루, 한지, 낙관등을 사용하며 약간의 채색을 가미하고 여백을 중시하는 고전적인 기법이 중시되어왔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수묵화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보편적인 표현양식이었던 채색을 통해 대상을 표현하는 채색화가 발전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양화를 채색화와 수묵화로 구별하는 것은 단순한 사.. 2012. 7. 20. 도큐멘타전_The Exhibition of Documenta 도큐멘타전(The Exhibition of Documenta) 1955년 독일의 카셀에서 처음으로 열린 국제미술전람회. 60년 제2회전이 열린 이후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운영의 중심인물은 카셀미술학교장 보데, 카셀시장 브라넬, 미술사가 하우프트만 등으로, 현대미술작가에 의한 콩쿠르라는 성격을 벗어나 미술사적인 시야에서 현대미술을 검토하고 많은 사람에게 현대미술의 새로운 동향을 소개하려는 의도에서 열리는 전시회이다. 2012. 7. 20. 도자재료학_요약 10가지 도자재료학(요약 10가지) 1. 1차점토와 2차 점토의 성인 및 특징①1차점토 :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하지 않으며, 불순물(Fe), 카본(C), 유기물이 없으며 알갱이 크기가 크다. 가소성이 작으며 소성색은 엷다. 유약을 만드는데 1차점토가 사용되며 그 이유는 불순물, 유기물이 없고 카본이 없어 백색도가 높기 때문이다.②2차점토 : 바람, 물로 이동되며 퇴적된 것으로 카본, 유기물이 있으며 알갱이 크기가 작다. 가소성이 크며 소성색은 짙다. 소지를 만들 때 2차점토를 사용하게 되는데 알갱이가 미세해서 수축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난이도(형태, 복잡성, 두께, 크기)에 따라 성형방법이 틀려져야 한다. 2. 건조수축 : 건조할 때의 수축을 말하며 이는 점토의 입자를 싸고 있는 수분이 증발하.. 2012. 7. 20. 도자기_陶瓷器 도자기(陶瓷器) 점토·장석·규석·도석 등의 무기물질을 원료로 하고, 이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성형한 다음 열을 가하여 경화(硬化)시킨 제품. 【분류】 도자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분류하기가 곤란하다. 분류는 나라 또는 학자에 따라 다르나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자기라면 자기(porcelain)·도기(earthenware/pottery)·석기(stoneware)·토기(clayware)의 4종류로 크게 나눈다. 자기 : 배합한 소지(素地)를 1,300∼1,500 ℃의 높은 온도로 소성하여 소결(燒結)시킨 것으로, 일반자기는 점토·석영·장석계의 배합소지이며, 이 외에 특수원료를 사용한 것은 특수자기라고 한다. 일반자기의 소지는 대개 백색이고 유리질이어서 흡수성이 거의 없고. 투광성이 있으며, 두드리면 금속.. 2012. 7. 20. 도자공예 도자공예 원래 공예품은 사람이 실제로 사용하던 것이므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의 생활 주변의 도구는 어디나 있다. 선사시대 즉 기원전 5,000년 전 인류의 종족이 시작되는 곳이면 어디서나 발견되는데 빗살문 토기, 무문토기 등이 그것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흙을 굽는 열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서 더욱 보기 좋은 도자기를 만들게 되었으며 유약의 발달로 더욱 발전하였다. 도자공예의 종류 찰흙이나 돌을 원료로 해서 형을 만들고 이를 높은 온도로 구운 것을 모두 도자 공예라 하는데, 이를 성질상 나눠보면 다음과 같다.토기다공질로 유약을 바르지 않은 것. 도기초벌구이를 하고 재벌구이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섭씨 1,250~1,350도에서 맺음구이 를 하고 유약을 칠해 먼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재벌구이 한 .. 2012. 7. 20. 데칼코마니_Decalcomanie 데칼코마니(Decalcomanie) 어떠한 무늬를 특수 종이에 찍어 얇은 막을 이루게 한 뒤 다른 표면에 옮기는 회화기법으로 '전사법'이라고한다. O.드민게스에 의해 창안되었으며 원래는 공예작품인 도기나 유리기구 등의 그림 붙이기에 쓰인 수법으로, 인쇄기에 넣을 수 없는 물체에 장식을 하거나 상표를 붙일 때 주로 사용했다. 명반이나 알루미나를 접착제에 섞어 종이위에 칠한 것을 원화지로하고, 그 원화지 위에 그림을 그리고 종이째 도기나 유리에 눌러 붙여 그림만 상대편에 전사해 버리는 방법을 뜻하였다. 근대 미술에서는 그와 같이 공예에만 국한하지 않고, 콜라쥬나 프로타쥬와 함께 회화제작 자체의 한 가지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한다. 종이를 둘로 접은 다음 한 쪽 면에 물감을 묻히고, 마르기 전에 반대쪽을 겹쳐 .. 2012. 7. 20. 데카당스_Decadence 데카당스(Decadence) 쇠미(衰微)·퇴폐·조락(凋落)을 의미하는 말. 상징주의와 연관된 19세기의 미술, 문학운동. 퇴폐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연적인 것보다 인위적인 것의 우월성을 믿었다. 문학에서는 원래 로마제국 말기의 병적인 문예의 특징을 가리켰으나, 19세기 말에 보들레르와 베를렌의 영향을 받은 모리스 드 블래시, 로랑다이아드, 로당바크, J.모레아스 등 상징파 시인들이 데카당(퇴폐파:1886∼89)이라고 자칭하여, 이후 그들의 예술적 경향을 데카당스라고 평하였다. 그들은 위스망스의 소설 《역로:rebours》(1884)에 나오는 주인공의 생활신조를 의식적으로 실천하면서 평범한 부르주아 도덕이나 고전적 질서에서의 탈출을 시도하고, 진기하고 인공적인 것을 좋아하며 추악함 속에서 오히려 새로운.. 2012. 7. 2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