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론 Open강좌440 릴리프 페인팅_Relief Painting 릴리프 페인팅(Relief Painting) 일정한 두께가 있는 알루미늄관 등을 굴곡 있는 선으로 잘라내어 엷게 색칠하고 그것을 몇 층으로 겹쳐서 회화처럼 보이게 한 작품. 1970년대 이후에 스텔라가 제작하였다. 2012. 7. 20. 리히텐슈타인_Roy Lichtenstein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1923.10.27~) 미국의 화가. 뉴욕 출생. 팝 아트의 대표자이다. 1960년대 초 미국의 대중적인 만화를 주제로 인쇄의 망점(網點:dot)까지 그려넣어 만화의 이미지를 확대한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매스미디어의 이미지를 매스미디어 방법에 준하여 묘사한 전형적인 팝 아티스트로 평가받았다. 70년대가 되자 주제가 확대되어 고대 그리스의 신전건축과 정물화 등으로부터 피카소와 레제, 그리고 미래파 등 모던 아트의 명작에까지 미쳤고, 그 표현방법은 인쇄미디어를 의제(擬製)한 망점이나 사선이 전개되어 추상적인 구상에 접근하였다. 청동이나 철판에 에나멜로 채색한 조각도 다루었다. 2012. 7. 20. 리얼리즘_Realism 리얼리즘(Realism)리얼리즘의 개념 시각에 의존한 정확한 접근 방식과 새로운 관심의 표현인 리얼리즘을 보통 사실주의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있으나, 리얼리즘의 뜻 속에는 객관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베낀다는 의미보다 현실주의, 실재주의란 의미가 더 크게 작용하므로 리얼리즘이란 원래 용어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리얼리즘의 경향은 카라밧지오, 벨라스케스의 작품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미술사에서는 통상 19세기 프랑스에서 나타난 한 경향을 일컫는다. 나아가 현대예술에 있어서 리얼리즘이란 용어 앞에 ''사회적'', ''사회주의적'', ''비판적'', ''마술적'' , ''극''(hyper) 등의 수식어가 붙는 경우 그 의미가 약간씩 달라지므로 리얼리즘을 정의하는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리얼리즘의 형성배경과 특징 1.. 2012. 7. 20. 리스트라이크_Restrikes 리스트라이크(Restrikes) 오리지널에디션이 완성된 뒤 폐기하지 않은 원판으로 찍어낸 판화로서, 판이 많이 훼손된 상태에서는 작가 외의 다른 사람의 손에 의해 가필 또는 수정해서 찍어낸 판화를 일컫는다. 2012. 7. 20. 리소 크레용_Litho Crayon 리소 크레용 (Litho Crayon)평판화 도구 중 하나로 크레용 같이 그림 그리는 재료다. 2012. 7. 20. 리소 그래피_Lithograph/석판화 리소 그래피 (Lithograph)/석판화 석판화는 평판화, 혹은 리도그라피라고도 하는데 1790년경 독일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 석판화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37년경 신문이 발간되면서부터였다. 그 후 사진이 발명되면서 석판화는 쇠퇴했지만, 화가들이 새로운 표현 기법으로 석판화를 다시 소생시켜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하기도 했다. 석판화의 원리는 매우 단순하다.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기름을 주원료로 한 크레용 등으로 판의 표면에 그림을 그리고 필요한 절차를 마친 후 판 위에 물을 적시면 그리지 않은 부분에만 물이 스민다. 이때 롤러에 잉크를 묻혀 판 위에서 굴리면 잉크 역시 기름이므로 그림이 그려진 부분에만 묻고 그 밖의 여백에는 잉크가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2012. 7. 20. 르네상스_Renaissance Art 르네상스(Renaissance Art) 르네상스의 의미와 미술 14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6세기 유럽을 정정으로 이르렀던 미술 경향이다. '재탄생'을 뜻하는 르네상스라는 말의 어원을 보면 고전 학문의 부활을 기술하기 위해 그 말을 사용한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슐레가 프랑스 역사의 한 절에 '르네상스'라는 제목을 붙이면서 르네상스가 특정한 시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용되었다. 인간 정신의 회복을 바탕으로 신앙 위주의 미술에서 인간 위주의 미술로 변화하고자 했으며, 초자연적인 중세 미술에 반대하여 인간과 자연의 현세적인 아름다움을 긍정하는 사실적인 미술이다. 이탈리아의 피렌체와 베네치아에서 시작되어 16세기 전반에 전성기였다. 동서 중개 무역에 의한 상공시민세력의 대두로 새로운 의식이 싹튼 것이.. 2012. 7. 20. 룰렛 룰렛 점이나 선들이 조각 되어서 중심선을 따라 도는 작은 철 롤러이다. 한 부분을 여러 방향으로 많이 굴렸을 때 밝거나 어두운 점선이 생긴다. 그라운드 제거용으로도 사용되며 금속 부식제를 가하면 연필로 한듯한 애칭무늬결 이 생기고 보통 크래용법이라 알려져있다. 룰렛은 아쿠아틴트나 메조틴트로 음영을 나타낸곳에 재터치하는데 사용되며 매탱펀 치는 조각판에 두드려지는 모형인데 디자인이 판위에 옳겨진다. 2012. 7. 20. 루이스달_Jacob van Ruysdael 루이스달(Jacob van Ruysdael:1628?~1682.3.14) 네덜란드의 풍경화가. 하를렘 출생. 풍경화가로 유명한 로이스달가(家)의 일원으로, 아버지 이사크와 삼촌 살로몬(1600?∼1670)에게서 그림을 배웠다. 1648년 하를렘의 화가조합에 등록되었고, 1657년경부터 암스테르담에서 화가로 제작에 몰두하는 한편 의사로도 활약하였다. 작풍(作風)은 1650년대 중간쯤부터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하늘·물·대지가 일체를 이룬 네덜란드의 독특한 것으로 고사(枯死)한 거목(巨木), 폐허·묘지나, 산의 성채 등을 배치한 우울하고 극적인 것이었다. 화가의 개인적 감정을 풍경화에 반영시킨 최초의 화가로, 이것은 근대 로맨티시즘을 낳은 근원적인 세계였다. 예를 들면, 대표작 《유대인의 묘지:Jewish C.. 2012. 7. 20. 로트렉_Henri de Toulouse-Lautrec 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 1864.11.24~1901.9.9) "이제 우리는 로트렉을 초자연적인 존재로 느끼고 있다. 이것은 그가 극히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정신이다. 그리고 그의 독립적인 정신에는 어떠한 뿌리 깊은 편견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는 기존에 존재하는 사상을 경멸하지 않았다. 단지 모든 종류의 권위를 거부할 뿐이었다. ……… 로트렉은 공원에서 노는 어린아이처럼 완벽하게 자유로운 삶을 누렸다." -트리스탕 베르나르- 프랑스의 화가. 알비 출생. 처음에는 아버지의 친구인 화가 R.프랭스토에게 배웠고 1882년부터는 파리에서 코르몽(본명 F.A.Piwstre)의 지도를 받으면서 개성 있는 소묘화가(素描畵家)로서 독자적인 자질을 키워나갔다. 로트렉.. 2012. 7. 20. 로코코 미술_Rococo Art 로코코 미술(Rococo Art) 17세기의 바로크 미술과 18세기 후반의 신고전주의 미술 사이에 유행한 유럽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도 퍼져나갔다. 로로카이유(rocaille)와 코키유(coquille) 두단어가 합쳐진 글자로, 로카이유는 자갈을 의미하고 코키유는 조개껍데기를 말한다. 본래는 당시 귀족사회의 생활을 미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장식양식 내지 공예품에 대하여 쓰인 말이었으나, 나중에는 이 시대의 프랑스 미술, 나아가서는 유럽미술 전반에 걸친 양식개념이 되었다. 로코코는 바로크 시대의 호방한 취향을 이어 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 건축의 유행을 말한다. 또한 로코코는 왕실예술이 아니라 귀족과 부르조아의 예술이다. 다시 말하자면, 유희와 쾌락의 추구에 몰.. 2012. 7. 20. 로마네스크 미술_Romanesque Art 로마네스크 미술(Romanesque Art) 고딕 미술에 앞서 중세 유럽 전역에 발달하였던 미술양식. 지역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950~1200년경에 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 지방과 프랑스에서 일어나 유럽 여러 곳으로 퍼져나가서 지역마다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로마네스크라는 명칭은 로마네스크 건축이 로마 건축에서 파생한 것이라는 뜻에서 프랑스어로 ‘로망’이라는 어휘를 쓰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로마네스크 미술에 대한 인식이 깊어져서 하나의 독자적이고 뛰어난 원리를 지닌 미술양식으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이 로마네스크 미술이 탄생하기까지는 적어도 7∼8세기의 준비기간이 소요되었는데, 이것을 프레 로마네스크라고 한다. 서유럽은 옛날 켈트 문명의 발상지로서 BC 1세기에 로마 문명.. 2012. 7. 20. 오귀스트 르네 로댕_Rene-Francois-Auguste Rodin 오귀스트 르네 로댕(Rene-Francois-Auguste Rodin) 로댕 - 미의 본질을 향한 노력 오귀스트 로댕[ August Rodin ]은 1840년 11월 12일 파리 22번구의 라르발레트(rue de l''Arbalete)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장 바티스트(Jean Baptiste)는 대부르주아들이 루이 필립을 왕으로 옹립했던 7월혁명과 함께 산업화의 물결이 일렁이던 1830년에 노르망디로부터 파리로 이주한 농부출신이자 왕당파로서 하급공무원이었는데 늦게 결혼하여 위로 두 딸을 가진 뒤 로댕을 얻었다. 어릴 때부터 과묵한 성격의 로댕은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는데 발 드 그라스(Val de Grace)가에 있는 예수회 교단이 운영하던 초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종교교육 시간의 교리문답 공부에 제.. 2012. 7. 20. 렘브란트_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 1606.7.15~1669.10.4)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화가로 레이덴 출생,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함께 17세기 유럽 회화사상 최고의 화가였다.14세 때 레이덴대학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어릴 때부터 미술에 소질을 보여 레이덴의 화가 야곱 반 스바넨부르크에게 배웠고 이어 암스테르담에 나와 P.라스트만의 문하에 들어간 이후 1624년 레이덴으로 돌아와 이듬해부터 독립하여 아틀리에를 열었다. 1632년 암스테르담 의사조합으로부터 위촉받은 의 호평을 계기로 암스테르담에 정착하였고, 1634년 명문가문의 딸 사스키아 판 오이렌부르흐와 결혼하여 당시 미술세계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암스테르담에서 첫째가는 초상화가로 명성을 얻었지만 명성을 얻을수록 외.. 2012. 7. 20. 레오나르도 다빈치_Leonardo da Vinci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 1452.4.15~1519.5.2) 작가연보 1452년 4월 15일 이탈리아 피렌체 서쪽 빈치 마을에서 출생. 부친 피에로는 피렌체의 공증인이며, 레오나르도는 서자로 태어나 조부의 집에서 자랐다. 1472년 (20세) 피렌체의 화가 조합에 등록. 1473년 (21세) 코페르니쿠스 출생 / 레오나르도 화가 조합에 받아들여짐.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에 소장된 풍경 소묘화에 「8월5일」기입. 1476년 (24세) 피스토이아 대성당의 제단화가 스승인 베로키오에게 의뢰되었는데, 레오나르도는 클레디와 합작 를 그림. 1480년 (28세) 마젤란 출생 스승 베로키오가 3년에 걸쳐 계속해 온 피렌체 본당 은제단의 부조 제작에 협력. 또한 구상도를 만들어 베로키오에게 .. 2012. 7. 2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0 다음